플라스틱 3D 프린팅의 유형
Figure 4
Figure 4는 확장 가능한 모듈형 제조 솔루션으로서 비접촉식 박막 기술과 최신 플라스틱 레진, 그리고 몇 시간이 소요되는 열기반 경화 공정과 달리 몇 분이면 끝나는 광기반 UV 경화 공정을 사용합니다.
또한 최종 부품과 소재의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성, 내구성, 고온 변형 및 탄성 특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비결이 무엇일까요? 비접촉식 박막 공정 속도와 낮은 정적 부피 프린트 트레이의 결합으로 다른 감광성 3D 프린팅 방법으로는 구현하지 못하는 고반응성 소재의 화학적 성질을 더욱 많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3D 프린팅 서비스인 Rapid Application Group이 어떻게 3D Systems의 Figure 4 Standalone과 3D Sprint 프린트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하루 안에 3D 프린트한 원형과 생산 등급의 플라스틱 부품을 제공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광조형 기술(SLA)
SLA는 표면 마감 처리와 정확도에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고해상도 설정이 적용된 대형 제작 플랫폼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원형 제작, 매몰 주조, 간접 제조 보조구를 포함해 광범위한 고속 제조 분야의 요건까지 해결합니다.
SLA 3D 프린터는 UV 레이저를 사용해 액상 레진 소재를 경화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하는 동시에 매끄러운 표면, 고해상도, 에지 정의, 그리고 성형 또는 금형 플라스틱 부품의 정확도에 버금가는 공차를 자랑합니다. SLA 프린터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고 다양한 크기 및 가격대가 있으며 원형 제작, 최종 사용 제품 생산, 주조 패턴, 금형, 공구 세공, 고정 장치 및 의료 모델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3DS의 업계를 선도하는 최신 광조형 3D 프린터 Prox 800는 명성 높은 SLA 정확성과 속도에 걸맞는 혁신적인 새로운 레이저 프린트 헤드와 프린트 소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Selective Laser Sintering(SLS)
선택적 레이저 소결법(SLS)은 고성능 CO2 레이저를 사용해 분말 열가소성 레진을 선택적으로 녹여 융합합니다. 이 공정은 뛰어난 표면 마감 처리와 정교한 디테일 획득 가능성을 가진 튼튼한 기능성 파트를 제작하려는 경우에 이상적입니다. SLS를 사용하면 디자인 원형 제작을 넘어 최고의 정확성, 내구성, 재현성 및 낮은 총 운영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SLS는 또한 타 공정 사용 시 제작이 어렵거나 공구 세공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허락되지 않는 복잡한 기하형상에 이상적입니다. 자동차, 항공우주, 소비 가전, 수술 기구 및 매장 바닥 제작 부문의 기능성 파트와 원형 제작을 원하는 엔지니어를 위한 최상의 선택입니다.
응용 분야 전문가인 마이클 그룬(Michael Grun)이 SLS 재료 속성과 이러한 재료 속성이 고객에게 어떻게 유효한지 설명합니다.
멀티젯 인쇄(MJP)
멀티젯 프린팅(MJP)은 귀금속, 치과, 의료 및 항공우주 업계에서 높은 품질, 기능성 원형 제작, 지그, 고정장치, 간접 제조 공구, 직접 매몰 주조가 필요한 환경에 이상적입니다. 이러한 고해상도 프린터는 구입 비용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후처리도 거의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섬세하고 복잡한 피처를 손상 없이 프린트하여 닦아내는 데 효과적입니다.
ProJet® MJP 2500 시리즈를 위한 3D Systems의 새로운 엔지니어링 소재는 높은 충격 강도부터 뛰어난 유연성과 고대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의 기능성 원형 제작을 위한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컬러젯 프린팅 시스템(CJP)
보건 및 교육용 환경에서 요구 수준이 가장 높은 상업용 환경에 이르기까지, 컬러젯 프린팅 시스템(CJP)은 비교를 불허하는 컬러 기능으로 유명하며 탁월한 프린트 속도, 효율성 및 낮은 운영 비용을 자랑합니다.
다양한 컬러 영역을 제공하는 CJP 복합 소재는 개념 검증 및 의사소통을 위해 사진처럼 사실적인 풀컬러 파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청록색, 심홍색, 노랑색을 사용하고, 일부 프린터는 검은색 바인더로 백색 파우더 위에 프린트하여 단색 및 총천연색 파트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Deckers Brands가 풀컬러 3D 프린팅을 사용해 어떻게 설계 검증을 앞당기고,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고, 신제품 개발에 따른 리드 타임을 크게 줄이고 있는지 알아보십시오.